반응형

영어 366

strange, weird, abnormal, peculiar, odd 차이점

strange, weird, abnormal, peculiar, odd 차이점 이번 시간에는 strange, weird, abnormal, peculiar, odd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 차이점 1. strange Collins:Something that is strange is unusual or unexpected, and makes you feel slightly nervous or afraid strange는 일반적이지 않고 통념과 달라 이해하거나 설명하기 어려워서 '낯선, 이상한'을 의미합니다. ▷ Nothing strange 이상한 것은 없다 ▷ This tastes strange 이거 맛이 이상한데 2. weird Collins:If you describe something or som..

영어/영어단어 2021.08.15

Only to - to 부정사 이해

Only to - to 부정사 이해 이번 시간에는 only to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only to to 부정사는 목적, 결과 두 가지 의미로 쓰입니다. 이는 전치사 to의 의미와 바라보는 시각에 차이에서 나타나는 의미입니다. X to Y에서 to는 X가 Y를 바라보는 관계를 나타내는데, X가 Y에서 떨어져 있으면 목적, X가 Y에 가서 닿아 있으면 결과로 풀이합니다. 이번 시간에 알아볼 only to는 둘 중 어디에 해당할까요? Longman:used to say that someone did something, with a disappointing or surprising result 영영 사전의 의미를 살펴보면, only to는 '~했으나 결과는 ~하다'라는 의미로 결과가 실망스럽거나 놀라운..

영어/영어표현 2021.08.14

empty, vacant, hollow, bare, blank 간단 차이점

empty, vacant, hollow, bare, blank 간단 차이점 이번 시간에는 empty, vacant, hollow, bare, blank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 차이점 1. empty Longaman:having nothing inside empty는 용기의 내부가 텅 비어 있는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 But this is just an empty box 하지만 이건 텅 빈 상자일 뿐이야 2. vacant Cambridge:not filled or occupied; available to be used vacant는 집, 방, 건물 따위에서 사용하는 사람이 없어서 일시적으로 비어 있는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 Are you sure this apartment is vacant? 이..

영어/영어단어 2021.08.14

turn, spin, circle 차이점 - 돌다?

turn, spin, circle 차이점 - 돌다? 이번 시간에는 turn, spin, circle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 차이점 1. turn Longman:to move something so that it is pointing or aiming in a different direction turn은 방향 전환의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 Could you turn around and drop your pants 돌아서서 바지 좀 내려주실래요? 2. spin Cambridge:to (cause to) turn around and around, especially fast spin은 어떤 대상이 가운데를 중심으로 하는 빠른 회전을 의미합니다. ▷ Propellers! Spinning! 프로펠러!..

영어/영어단어 2021.08.13

research, study, analysis, investigation 차이점

research, study, analysis, investigation 차이점 이번 시간에는 research, study, analysis, investigation의 차이점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 차이점 1. research Cambridge:a detailed study of a subject, especially in order to discover (new) information or reach a (new) understanding research는 하나의 주제를 상세히 살펴 새로운 정보나 사실을 발견, 이해, 입증하는 '조사, 연구'를 의미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단어죠. ▷ You do research into unusual spatial phenomena, do you? 특..

영어/영어단어 2021.08.13

'혹시 모르니' 영어로? / 살인자의 기억법(한영 필사)

'혹시 모르니' 영어로? / 살인자의 기억법(한영 필사) I said, "Just in case, lets exchange numbers 그래도 혹시 모르니 연락처나 교환합시다 □ 오늘의 표현 '혹시 모르니 = just in case' 이번 시간에는 '혹시 모르니 = just in case'를 알아보겠습니다. Longman:as a way of being safe from something that might happen or might be true 영영 사전의 의미를 살펴보면, 'just in case'는 일어날지도 또는 사실일지도 모르는 어떤 일을 미연에 차단하고자 할 때 말하는 표현입니다. in case만으로도 의미가 통하지만 just는 그 의미를 한층 부각시킵니다. 몇 가지 용례를 살펴볼까요? ..

영어/영어표현 2021.08.12

How/what - 2가지 구분법

How/what - 2가지 구분법 이번 시간에는 how, what의 3가지 구분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2가지 구분법 how, what은 왜 헷갈릴까요? 이유는 둘 다 '어때'라고 해석되기 때문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을 살펴보면, '어때'의 기본형은 '어떻다'로 '의견, 성질, 형편, 상태 따위가 어찌 되어 있다.'라고 정의합니다. 한국어에서는 '의견, 성질, 형편, 상태 따위'를 '어떻다'라는 하나의 단어로 표현하는 반면에, 영어에서는 how와 what을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그러니 잘 구분해서 사용하는 게 중요하겠죠? 결론부터 말하자면, how는 '형편, 상태'를 what은 '의견, 성질'을 표현합니다. 용례를 살펴보면서 자세히 알아볼까요? 1. 안부 vs 묘사 1) how : 안부(상태) ▷ How ..

영어/영어문법 2021.08.12

action, behavior, deed, conduct 차이점

action, behavior, deed, conduct 차이점 이번 시간에는 action, behavior, deed, conduct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 차이점 1. action Oxford:the process of doing something in order to make something happen or to deal with a situation action은 특히 문제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무언가를 하는 과정에서의 '행동, 행위, 조치'를 의미합니다. ▷ I must take the appropriate action 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2. behavior Oxford:the way that somebody behaves, especially towards other ..

영어/영어단어 2021.08.12

간접의문문 - 의문사 활용법 2편

간접의문문 - 의문사 활용법 2편 이번 시간에는 간접의문문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 간접의문문 1. 의문문 정립 간접의문문을 알아보기 전에 의문사 의문문을 먼저 정립해야 합니다. 의문문은 상대방의 의사를 물어보는 문장입니다. 다시 말해,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물어서 대답을 듣고자 하는 문장 형식을 말합니다. 이 문장 형식은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which), 어떻게(how), 왜(why)처럼 육하원칙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who는 상황에 따라 whom, whose로도 쓰입니다) 의문사를 문장 앞으로 보내면서 의문문을 만들 때, 주어와 동사의 자리가 바뀝니다. ▷ Where are we going? 우리 어디로 갈 거예요? 2. 간접의문문 간..

영어/영어문법 2021.08.11

의문사 의문문 - 의문사 활용법 1편

의문사 의문문 - 의문사 활용법 1편 이번 시간에는 의문사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 의문사 의문문 의문문은 상대방의 의사를 물어보는 문장입니다. 다시 말해,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물어서 대답을 듣고자 하는 문장 형식을 말합니다. 이 문장 형식은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which), 어떻게(how), 왜(why)처럼 육하원칙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who는 상황에 따라 whom, whose로도 쓰입니다) 위 의문사를 문장 앞으로 보내면서 의문문을 만들 때, 주어와 동사의 자리가 바뀝니다. be동사와 일반동사, 조동사로 나누어서 살펴보겠습니다. 1) be 동사 be 동사일 경우, 의문사가 앞에 오고 주어와 동사의 자리가 바뀝니..

영어/영어문법 2021.08.11
반응형